재배관리
관상수 식재
최고관리자 2016-04-26 15:32:28 조회 2888
◈ 관상수식재 

(가) 식수적기 
상록활엽수는 일반적으로 난지의 수목이 많으며 가을에서 겨울에 걸쳐 이식하면 추위 때문에 나무가 상하기 쉽다. 또한 여름에는 뿌리가 잘려지면 수분흡수가 나빠져 잎의 수분 증발이 많은데 자체내의 수분이 감소되어 잎이 시들어 버린다. 이식적기는 3월 하순부터 새순의 발육이 일단 정지되는 7월 상순까지가 적기라고 본다. 침엽수는 상록활엽수보다 다소 추운 곳에서 생육하는 것이 많으므로 상록활엽수보다 이른 2월 하순부터 4월 하순까지 적기이다. 활엽수는 휴면기가 확실하며 상록활엽수보다 내한성이 강하다. 따라서 잎이 떨어진 후면 수분증발이 거의 중지 되므로 이 시기가 적기이다. 너무 추울 때는 뿌리가 상하므로 2월 하순부터 싹이 트려고 하는 4월까지가 가장 좋으며 가을의 11월도 적당하다. 

(나) 식재방법 

1) 뿌리돌림 
큰나무나 뿌리의 상태가 나쁜 것은 이식할 때 그대로 뽑아서 이식하면 뽑을 때 뿌리가 상하고 뿌리가 감소되어 아무리 적기에 이식하였다 하더라도 실패하기 쉽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에는 이식할 때 나무의 부담을 덜고 쇠약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뿌리주위에 잔뿌리를 많이 나게 하는데 이것을 뿌리돌림이라 한다. 

2) 뿌리돌림순서 
○ 뿌리돌림은 이식할 1년전이나 6개월전에 한다. 큰나무는 반쪽씩 하고 남은 쪽은 6개월후에 한다.
○ 뽑을 둘레보다 줄기 가까이에 도랑을 파고 뿌리를 노출시켜 잔뿌리는 자르고 굵은 뿌리는 3㎝ 폭으로 껍질을 벗기며 곧 바로 밑으로 내려간 굵은 직근은 끊지 말고 그대로 둔다.
○ 뿌리를 위와 같이 처리한 후 흙을 다시 전과 같이 묻어 주고 관수한다.
○ 뿌리가 상한 만큼 가지를 절단하여 준다.
○ 넘어갈 우려가 있는 나무는 지주를 세워준다. 이상과 같이 처리하여 주면 뿌리의 자른 자리에서 세근이 나와 그 세근이 수분을 흡수하게 되며 뽑을 때는 그 뿌리 채 이식하게 되므로 심은 후의 활착이 잘 되게 된다. 

3) 굴취(분뜨기) 
이식할 때 가급적이면 뿌리를 많이 붙여 주는 것이 이상적이며 작은 나무는 줄기 지름의 4∼6배 , 큰나무는 2∼4배정도 뿌리를 붙여 파낸다. 심근성인 침엽수나, 상록수는 분을 너비보다 깊게 뜨며 천근성인 침엽수나 관목류는 얕게 하고 크게 뜬다. 침엽수는 수고 1m 이하의 것은 적은 분이라도 떠서 흙을 붙여 이식하는 것이 안전하며 낙엽수는 잎이 없을 때라면 적은 나무는 흙이 붙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4) 심는법 
심는 순서는 다음과 같다.
○ 심을 나무 뿌리의 크기에 따라 깊이는 1.5배 폭은 2배 정도의 큰 구덩이를 판다.
○ 밑거름을 넣고 흙을 15∼20㎝쯤 덮는다. 이때 중심부를 다소 높게 흙을 넣어 두면 나중에 나무의 방향을 돌릴 때 편리하다.
○ 그 나무가 가장 잘보이는 방향으로 수형의 좋은 면을 보게 하여 구덩이에 넣고 돌려 가며 조절한다.
○ 이 때 깊이 심지 않도록 주의한다. 너무 깊이 심겨지면 나중에 뿌리의 발육이 나쁘며 가지도 잘 뻗지 않는다. 뿌리 윗쪽을 지표보다 다소 높여서 심는다.
○ 나무를 심은 후에 충분히 관수한다. 흙을 메우면서 물을 구덩이에 부으면 흙도 가라앉고 물도 뿌리에 고루 스며든다.
○ 윗부분의 흙을 덮고 심은 구덩이 둘레에 도랑을 만들어 두면 관수한 물이 흘러가지 않아 효과적이다.
○ 뿌리 감기한 것은 구덩이에 넣은 후 짚이나 새끼로 맨 것이라면 잘라서 펴버리면 된다. 이때 묘목인 경우 뿌리에 물이끼나 진흙 경단같은 것이 붙었을 때는 제거하여 뿌리를 노출 시켜서 심는 것이 뿌리의 발육에 좋다.
○ 뿌리의 상태에 맞추어 가지를 전정한다. 또한 줄기 주위에 상처가 있으면 줄기를 새끼 또는 천으로 동여매어 주고 무균토(질찰흙)으로 발라주어 외부로부터의 해로운 균이나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며 지주도 세워준다. 

 

 
No 제 목 조회 날짜
21 농약의 분류 2,796 2016.04.26
20 수목의 굴취 및 이식 7,092 2016.04.26
19 관상수 식재 2,889 2016.04.26
18 수목굴취요령 1,916 2016.04.26
17 재선충발생지역 주변에서의 조림허용기준 1,223 2016.04.26
16 천남성 1,623 2016.04.25
15 이팝나무 2,001 2016.04.25
14 백합나무 2,193 2016.04.25
13 철쭉나무 1,696 2016.04.25
12 옻나무 2,933 2016.04.25
11 산수유나무 1,959 2016.04.25
10 구주소나무 2,078 2016.04.25
9 대추나무 1,845 2016.04.25
8 낙엽송 1,530 2016.04.25
7 나무나이 측정법 3,371 2016.04.25
6 미선나무 1,194 2016.04.25
5 조팝나무 1,503 2016.04.25
4 팥배나무 2,054 2016.04.25
3 백합나무 1,386 2016.04.25
2 박태기나무 1,932 2016.04.25
[이전 10개] [1] [2] [3] [4] [다음 10개]